서울시에서 발표한 지자체별 교통복지수준 평가결과 종합표. 서울시가 1위다.
지난 3일, 국토부가 8대 특별광역시의 교통복지 수준을 조사한 ‘2017년 교통약자 이동편의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교통약자들의 이동이 가장 편리한 곳은 서울시인 것으로 드러났다. 81.6점으로 2016년도에 이어 1위다. 하지만 서울의 장애인콜택시 등 특별교통수단 보급률(바우처 택시 포함)과 그 이용률은 각각 4위, 6위로 중하위권에 그쳤다. 교통약자 관련 조례 제정, 편의시설 또는 이동편의 관련 위원회 구성, 베리어프리한 생활환경 인증 등을 분석한 교통행정지표 역시 4위인 중위권에 머물렀다.
8대 특별·광역시 중 교통복지 수준이 ‘꼴찌’인 곳은 울산이다. 울산은 54.1점으로 서울과 약 27점 차이가 난다. 울산은 여객시설 주변 보행환경 기준적합 설치율, 저상버스 보급률(8위), 특별교통수단 보급률(5위) 등에서 낮은 평가를 받았다. 그다음으로는 세종시(7위), 대전시(6위) 순이다. 세종시는 특별교통수단 이용률, 교통복지행정 등에서 대전광역시는 특별교통수단 보급률(7위), 특별교통수단 이용률(8위) 등에서 낮은 평가를 받았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시내버스 대비 저상버스 보급률은 서울(1위)이 가장 높으며 대구(2위), 세종(3위), 대전(4위), 부산(5위), 광주(6위), 인천(7위), 울산(8위) 순으로 높았다. 특별교통수단 보급률은 인천이 가장 높았고 대구, 광주, 서울, 울산, 부산, 세종, 대전 순이었다. 교통행정지표는 대전이 1위를 차지했다. 인천, 부산, 서울, 울산, 광주, 대구, 대전 순으로 낮아졌다.
장애인의 통행빈도를 따져보면 지역 내에서 주 5~6회 이동하는 사람의 비율이 약 40%로 가장 높았다. 이 경우 이동교통 수단으로 버스나 지하철을 이용하는 경우가 많았다. 이동횟수와 이동 교통수단에 있어 다른 교통약자나 비교통약자와는 수치상 크게 차이 나는 지점은 없었다.
하지만 타 지역 간 외출 빈도에서 장애인과 비장애인은 극심한 격차를 드러냈다. 이는 휠체어 탄 장애인의 경우, 고속·시외버스에 휠체어 승강설비가 없는 현실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지역 간 이동의 경우, 연 20회 이상 이동한다고 답한 장애인은 4.4%에 불과했다. 이 중에서도 지체장애인이 1.9%로 가장 낮았다. 반면, 임산부는 약 14%, 고령자는 약 18%, 비교통약자는 30%가 연 20회 이상 이동한다고 응답했다. 장애인이 지역 밖으로 이동할 때는 승용차, 기차, 고속(시외)버스 순으로 이용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교통약자 이동편의시설 기준적합 설치율 및 만족도의 경우, 여객선, 여객자동차 터미널, 버스 정류장을 제외하고는 기준적합설치율(교통약자법 세부항목별 기준에 적합하게 설치된 정도)에 비해 이용자의 만족도가 대체로 낮았다.
국토교통부 관계자는 “이번 실태조사에서 나타난 미흡한 사항에 대해서는 지자체 및 교통사업자 등 관련 기관에 시정을 요구하고, 개선 여부를 지속해서 점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아울러 “항공 등 전년 대비 기준 적합률이 하락한 분야에 대한 제도 개선방안을 강구하고 있으며, 여객자동차터미널에 대하여는 베리어프리 인증사업을 통해 시설을 개선토록 하겠다”고 밝혔다.
이번 보고서 원문은 한국교통안전공단에서 운영 중인 ‘교통안전정보관리시스템(http://tmacs.kotsa.or.kr의 ‘기타-교통약자실태조사보고서’ 항목)’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