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0대 대선 전, 사회 분야 토론회 때
성인지예산 관련 질문이 있었다. 당시 ‘국민의 힘’ 대통령 후보였던 윤석열 현 대통령은 여성 위한 예산이라고 했지만, 이재명 후보는 구조적 성차별 극복과 남녀 성 평등을 위해 고려할 예산을 모은 게
성인지예산이라 했고, 심상정 후보는 여성 정책에 대해 코멘트할 사람이 없냐며 윤 후보를 질타했다.
여성가족부에선 이와 관련해
성인지 관점 대상에서 분석 대상 되는 국가의 주요 사업이
성인지예산임을 작년에 사실 확인을 해줬다. 공공예산 편성 시 남녀의 우선순위와 요구를 체계적으로 통합하는 것도
성인지예산이다.
성인지 정책이란, 고정된 성 역할 반복으로 인한 성별 고정관념을 민감하게 인지해 고정관념으로 확대되는 차별의 개선을 목적으로 하는 정책이다. 이와 관련한
성인지 통계는 남녀간 불평등한 상황을 점검, 평등한 상태로 이행하기 위한 도구로 활용될 수 있다. 지금까지 말한 걸 토대로 보면 결국 윤 후보는
성인지 관점 부재를 드러낸 거다.
성인지 얘기가 나왔으니 말인데, 우리나라 여성은 남성에 비해 고용률이 낮고 훨씬 더 많은 폭력에 노출돼 있다. 이런 현실이라,
성인지 정책은 아직 미비한 수준이다. 그러면 장애여성의 경우는 어떨까? 올해 2020
장애인실태조사를 통해 잠깐이나마 한번 보자.
장애인실태조사에서
여성장애인 통계 부분이 있다. 이 부분에선, 결혼과 자녀, 그리고 임신과 출산에 대한 통계들로 이뤄져 있다. 자녀 양육 시 애로사항, 임신할 때 힘들었던 점과 유산 경험 등 임신, 출산 등에 관련한 문항 등으로
여성장애인을 분류한다.
그런데, 임신, 출산 외에 직장에서의 임금·승진, 사회참여, 문화·여가활동 등의 일상생활, 폭력 및 차별 경험이나 주거 현실 등에 대해
여성장애인, 남성장애인을 구체적으로 비교한 통계는
장애인실태조사에서 찾아보기 힘들다. 이런 통계 있으면, 장애인 남녀 간 구체적 불평등 상황을 알게 돼 성차별 개선정책 수립에 도움이 될 텐데 그게 없다.
여성장애인과 남성장애인의 직장에서의 임금 비교의 경우 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에서 조사한 장애인고용패널조사 등에서 나오지,
장애인실태조사에선 나와 있지 않아, 파악이 어렵다. 교육 분야에선 무학, 초졸 이하, 중졸, 고졸, 대학교 이상의 비율에 대해
여성장애인, 남성장애인 비교한 통계 역시
장애인실태조사에선 찾아볼 수 없고, 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이 제작한 장애인 통계집에 나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