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랑장애인자립생활센터는
모두가 행복한 세상을 꿈꿉니다!

  >   커뮤니티   >  

복지뉴스

"장애인은 악기 연주 못하나요?" 600년 전 명맥 잇는 시각장애인 국악단

작성자 2021-12-01 최고관리자

조회 548

 

"장애인은 악기 연주 못하나요?" 600년 전 명맥 잇는 시각장애인 국악단

 

 

 

관현맹인전통예술단 창단 10년
"음악에 시각장애는 문제 아냐"

시각장애인 국악단인 관현맹인전통예술단 단원 김수희(왼쪽)·김소영이 서울신문과 인터뷰하며 웃고 있다. 10년간 국내외에서 활발히 활동한 이들은 “음악을 하는 데 시각장애는 전혀 문제가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안주영 전문기자 jya@seoul.co.kr

600년 전 조선, 눈병으로 앞이 거의 보이지 않던 세종은 ‘관현맹인’이라는 제도를 만들었다. 시각장애인에게 녹봉을 주고 정식 궁중 악사로 채용한 일종의 장애인 배려 정책이었다.

현대에 와서 이 제도는 ‘관현맹인전통예술단’이라는 이름으로 부활했다. 세종의 애민정신을 재현하며 국내외에서 활발한 공연을 벌인 지 올해로 10년.

여전히 사회는 장애인에 대한 편견으로 가득하지만 예술단원 김수희(50·거문고, 타악), 김소영(30·타악)은 30일 “음악을 하는 데 시각장애는 전혀 문제가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예술단은 현재 8명이 활동 중이다.

시각장애인의 음악 연주, 언뜻 생각하면 ‘불가능’이라는 단어부터 떠오른다. 이들 역시 그랬다. 김소영은 “어릴 때부터 음악에 관심이 많았지만, 당시엔 시각장애인이 음악인으로 직업을 유지하는 건 어렵다고 생각했다”며 “결국 꿈을 포기하고 대학에서 사회복지학을 전공했다”고 돌이켰다. ‘장애인이 많이 하는’ 전공이라서다.

관현맹인전통예술단 단원 김소영. 안주영 전문기자 jya@seoul.co.kr관현맹인전통예술단 단원 김수희. 안주영 전문기자 jya@seoul.co.kr

국악고를 졸업하고 대학원까지 나온 수재였던 김수희는 다른 악단에서는 오디션을 보는 것조차 어려웠다. 그는 “보통 오디션 때 악보를 보고 처음부터 바로 연주하게 하는 ‘초견’ 시험을 친다”며 “시력이 나빠 작은 글자를 거의 읽지 못하는 상태라 입단 시험을 치르기가 쉽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눈이 보이지 않으니 이들에게 일반 악보는 무용지물이다. 대신 점자 악보를 활용한다. 악보를 처음부터 끝까지 손가락으로 읽어 내려가는 데 시간이 많이 걸린다. 이 때문에 음악을 듣고 바로 외워서 연습하는 게 훨씬 빠르다고 한다. 단원 모두 시각장애인이라 벌어지는 해프닝도 많다. 김수희는 “합주 때 장구 연주자의 신호에 따라 일제히 연주하는데, 한번은 장내 준비가 덜 됐는데도 시작 신호를 보내는 바람에 모두 허둥지둥했던 적이 있다”며 웃었다.

시각장애인들로 구성된 관현맹인전통예술단 단원들이 10일 오후 서울 경복궁 수정전 앞에서 궁중음악 공연을 펼치고 있다. 관현맹인은 조선시대 궁중에서 현악기와 관악기를 연주한 맹인 악사를 뜻한다. 2021.11.10 연합뉴스시각장애인들로 구성된 관현맹인전통예술단 단원들이 10일 오후 서울 경복궁 수정전 앞에서 궁중음악 공연을 펼치고 있다. 관현맹인은 조선시대 궁중에서 현악기와 관악기를 연주한 맹인 악사를 뜻한다. 2021.11.10 연합뉴스

특히 국악은 서양 음악과 달리 연주할 때의 ‘합’이 중요한데, 이를 맞추는 건 10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익숙해지지 않는다고 한다. 김소영은 “서양 음악은 악보의 정확한 박자대로만 연주하지만, 국악은 다르다. 호흡이 있다”며 “장단에 따라 조금씩 끈적이듯 늘리고 잇는 부분이 있는데, 다른 사람들과 맞추는 게 까다롭다”고 설명했다.

관현맹인은 역사성과 상징성 덕에 국내는 물론 해외에서도 유명하다. 이들은 10년간 호주 시드니 오페라하우스, 미국 뉴욕 카네기홀 등 세계적인 무대에서 공연하며 장애인에 대한 편견을 깨는 데도 앞장서 왔다. 보이지 않아도 현장의 뜨거운 분위기와 감동은 온몸으로 고스란히 느낄 수 있었다.

관현맹인전통예술단이 지난 5월 12일 국립부산국악원 예지당에서 공연하는 모습. 관현맹인전통예술단 제공

그런 점에서 국내 반응은 아쉬울 때가 있다. 국악의 본고장인데도 대중적이지 않고 ‘어르신 음악’이라고 여기는 인식 때문이다. 김수희는 “그래도 미디어를 통해서가 아니라 실제 공연을 들으면 대부분은 좋아하는 것 같다”며 “조선 때 관현맹인 제도는 조상들이 한 인간을 바라보는 태도가 담겼다고 생각한다. 그게 우리를 통해 계속 계승된다는 데서 오는 자부심과 기쁨이 크다”고 전했다.

어엿한 전문 연주자이지만 공연 때 메이크업, 의상 선택을 스스로 할 수 없어 매번 스태프의 도움을 받아야 하는 것은 힘든 부분이다. 한복을 고르는 것부터 무대에서 제자리를 찾아 앉는 것까지 혼자서는 할 수 없다.

장애인 연주자가 비장애인 연주자보다 실력이 떨어질 거란 편견도 여전하다. 하지만 매일 연습실로 출근해 하루 종일 연습하고, 곡을 연구하고, 다른 단원들과 함께 호흡을 맞추는 이들의 생활에서 이미 ‘장애’는 없다.

“음악인에게 장애는 중요하지 않아요. 음악을 통해 세상과 소통한다고 생각합니다. 진심을 담은 음악으로 관객에게 다가가고 싶어요.”(김수희)

“매 순간 최선을 다해 관객들께 재미도, 위안도 드리고 싶어요. 그러기 위해 더 노력하고, 우리 활동도 많이 알려야죠.”(김소영)

김정화 기자 clean@seoul.co.kr

 

 

 

 

 

 

 

 

 

출처 : https://news.v.daum.net/v/20211130160604117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서울특별시 홈페이지
  •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 홈페이지
  • 중랑구 홈페이지
  • 보건복지부 홈페이지
  • 한국장애인자립생활센터협의회 홈페이지
  • 장애인 활동지원 홈페이지
상단바로가기

QUICK
MENU 화살표

  • 공지사항
  • 상담게시판
  • 활동사진
  • 오시는길